먼저 virtual box를 통해 리눅스를 키고
컨트롤 + alt + T를 눌러 터미널을 켜주도록 합시다.
리눅스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터미널에서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1. 시스템 종료, 재부팅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 종료 명령어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편한 것을 골라서 쓰시면 됩니다.
poweroff
shutdown -P 시간
halt -p
init 0
이중 shutdown의 옵션은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shutdown -r 시간 -> 정해진 시간에 리부팅
shutdown -c -> 예약된 shutdown 취소
shutdown -k +15 -> 접속한 사용자에게 15분 후 종료된다는 메시지를 보내지만
진짜 종료되지는 않음
2. 파일 제어
파일 제어 명령어에는 cd, ls 등이 있습니다.
ls 명령어
ls ->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보여줌
ls /경로 -> 경로에 있는 파일 목록 보여줌
ls -a -> 숨김 파일 포함해서 보여줌
ls -l -> 현재 디렉터리 목록 자세히 보여줌
ls *파일명 -> 해당 파일명이 뒤에 있는 목록 보여줌 ( * 대신 ?도 가능 ?는 앞이 한글자만 )
ls -l /etc/systemd/b* -> /etc/systemd 디렉터리에 있는 목록 중 앞글자 b인거 보여줌
ls b*파일명 -> b로 시작하고 뒤가 파일명이 오는 목록 보여줌
ls * -> 하위 디렉터리 파일들 전부 보여줌
ls * -R -> 하위 디렉터리의 하위 디렉터리 파일까지 전부 보여줌
-h -> 사람이 읽기 쉽게 바꿔주는 옵션 l과 a와 같이 씀
ex) -ahl
ls * -R | grep 파일명 -> 모든 디렉터리 파일 중 파일명인 것만 보여줌
cd 명령어
cd -> 현재 사용자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사용자명 -> 사용자명의 사용자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경로 -> 절대경로
cd ../경로 -> 상대 경로 상위로 이동후 경로로 이동함
pwd 명령어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경로 출력
touch 명령어
touch 파일명.txt -> 크기가 0인 새 파일 생성, 이미 파일 존재하면 파일 최종 수정 시간 변경
mkdir 명령어
mkdir 디렉터리명 -> 새로운 디렉터리 생성 명령 실행한 사용자 소유임
mkdir -p 부모디렉터리명/디렉터리명 -> 부모 디렉터리 없으면 자동으로 생성
rmdir 명령어
rmdir 디렉터리명 -> 해당 디렉터리 비어있고 디렉터리 삭제 권한 있다면 삭제
rm -r ->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 삭제
cp 명령어
cp -> 파일이나 디렉터리 복사
cp abc.txt cab.txt -> abc.txt 파일명을 cba.txt로 바꾸어 복사
cp -r abc cab -> -r 추가시 디렉터리 복사 abc 디렉터리를 cba디렉터리로 복사함
rm 명령어
rm abc.txt -> 해당 파일 삭제
rm -i abc.txt -> -i붙이면 삭제 시 정말 삭제할지 확인하는 메시지 출력함
rm -f abc.txt -> -f붙이면 삭제 시 확인하지 않고 바로 삭제함( 강제 삭제 )
rm -r 디렉토리명 -> -r 붙이면 하위디렉터리 까지 디렉터리 강제 삭제
mv 명령어
mv 파일명 경로 -> 파일을 경로 디렉터리로 이동
mv aaa bbb ccc ddd -> abc, bbb, ccc를 ddd 디렉터리로 이동
mv 파일명 바꿀파일명 -> 파일명을 바꿀 파일명으로 바꿈
mv abc.txt abc/jkl.txt -> abc.txt를 abc디렉터리로 이동하면서 이름을 jkl.txt로 바꿈
cat 명령어
cat 파일명 -> 파일 내용 화면에 출력
cat a.txt b.txt -> a.txt 와 b.txt를 연결해 내용 출력
head, tail 명령어
head 파일명 -> 위 10줄 출력 -5 등 몇 줄 볼지 옵션 가능
tail 파일명 -> 아래 10줄 출력 마찬가지로 옵션 가능
more 명령어
more -> 파일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 / 스페이스바 누르면 다음 페이지 B누르면 앞 페이지 Q 누르면 종료
more +10 파일명 -> 해당 파일 10행부터 출력
less 명령어
less -> more와 비슷하지만 더 확장된 기능의 명령어 +옵션도 가능
file 명령어
file -> 해당 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 보여줌
3. 네트워크 명령어
프로세스 명령어
ps -ef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순간적으로 출력
top -> 윈도우 작업관리자 역할
ip 명령어
ifconfig enp0s3 -> enp0s3 장치의 ip주소 확인
ifconfig -> ip주소 확인
ip addr -> Client의 ip 주소 확인
ip route -> 기본 게이트웨이 확인
sudo ip link set enp0s3 down -> 랜선 뽑음 (네트워크 장치 정지)
sudo ip link set enp0s3 up -> 네트워크 장치 가동
netstat -rn -> 게이트웨이 확인
resolvectl status -> DNS확인
nslookup -> DNS서버 작동 테스트하는 명령어 naver.com 입력시 네이버의
ip 확인 가능
nm-connection-editor -> ip 주소 자동 or 고정 결정,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등 정보 입력,
DNS정보 입력,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네트워크 장치 설정
systemctl start/stop/restart/status NetworkManager -> 변경한 네트워크 설정 적용
ping google.com -> 구글에 보내는 응답 속도 확인 -c 숫자 옵션으로 핑 몇번 보낼지 확인 가능
다음 포스트에선 다른 명령어를 알아보고 파이프, 리디렉션을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패키지 관리 (0) | 2023.09.05 |
---|---|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시스템 (0) | 2023.05.30 |
[리눅스] 파이프(Pipe), 리디렉션(Redirection) (0) | 2023.05.23 |
[리눅스] 우분투 리눅스 설치법 (1) | 2023.05.09 |
[리눅스] 리눅스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리눅스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