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제는 크게 두가지의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와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가 있습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쉽게 윈도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픽 이미지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배우기가 쉽고 그래픽 작업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명령줄 인터페이스라고도 부르는데
윈도우처럼 이미지로 제어하는게 아닌 명령어를 입력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들이 있습니다.
CLI는 시스템 자원을 GUI에 비해 덜 사용하며
작업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GUI에 비해 많은 작업을 한번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CLI는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까우며
GUI보다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리눅스
리눅스는 CLI 운영체제중 하나로 유닉스에서 파생된 운영체제입니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오픈소스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리눅스는 누구라도 소스코드를 수정할 수 있으며
그 수정한 리눅스를 재배포할 수 있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상적인 리눅스는 토르발스가 만든 커널에 여러 프로그램이 조합된 배포판으로
배포판은 토르발스가 제작한 커널을 사용합니다.
리눅스 배포판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드웨어 -> 커널 -> 쉘 -> 응용 프로그램
커널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부분을 뜻합니다.
리눅스 커널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버전 : 이미 검증된 개발 완료 코드로 구성
- 메인라인 버전 : 토르발스가 개발 중인 버전
- 프리패치 버전 : 안정 버전 나오기 전 추가된 기능 미리 접할 때 사용
이 커널은 배포판에 포함된 기본 커널을 사용자가 직접 최신 커널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이를 커널 업그레이드 또는 커널 컴파일이라고 합니다.
유명 리눅스 배포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레드햇/페도라
- 아마존 리눅스
- 데비안 리눅스
- 우분투 리눅스
여기서 다음 포스트부터 사용할 우분투 리눅스는
데비안 리눅스를 기초로 제작된 유니티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는 배포판입니다.
우분투 리눅스는 다양한 배포판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우분투 플레이버스라고 부릅니다.
현재 리눅스는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서버, 안드로이드 등이 있습니다.
리눅스는 시스템 리소스를 적게 사용하고 보안과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서버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서버용 프로그램이 리눅스에서 동작합니다.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기반으로 개발된 모바일 운영체제로
대표적인 리눅스 활용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선 우분투 리눅스 설치법과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패키지 관리 (0) | 2023.09.05 |
---|---|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시스템 (0) | 2023.05.30 |
[리눅스] 파이프(Pipe), 리디렉션(Redirection) (0) | 2023.05.23 |
[리눅스]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3.05.15 |
[리눅스] 우분투 리눅스 설치법 (1)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