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Git & Github

(3)
[git] 원격저장소와 로컬저장소 동기화 git에서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의 파일이 달라 push할때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제로 push하는 방법도 있지만 별로 권장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강제로 push하면 로컬저장소의 파일이 강제로 덮어써져 github에 파일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원격저장소의 파일을 로컬저장소에 동기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원격저장소의 파일을 복사할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 그 후 디렉터리에 파일을 복사합니다. git clone [내 원격저장소 주소] 다음 git init으로 .git폴더를 작성하고 commit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현재 브랜치에 병합해서 파일을 불러오고 싶다면 git pull 명령어를 써주시면 됩니다. git pull origin main 단, 원격저장소의 파일과 로컬저장소..
[git] 깃에서 ! [rejected] main -> main (non-fast-forward) 에러 해결법 git에서 github로 push할 때 ! [rejected] main -> main (non-fast-forward)에러가 뜰 때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원인 깃허브에 올라온 파일과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이 서로 다를때 병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2. 해결법 git push origin +main 이 명령어를 사용해 강제로 깃허브에 push하는 방법입니다. git push -- force 이 명령어는 깃허브를 로컬저장소와 강제로 동기화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추천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이 명령어는 관련 없는 두 저장소를 병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Git에서 Github로 업로드하기 ( git 다운로드 ) 오늘은 git에서 Github로 파일을 업로드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git 공식사이트에서 git을 다운받아 줍니다. https://git-scm.com/download/win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git을 깔아주도록 합시다 저는 64비트 git을 깔도록 하겠습니다. Next버튼을 눌러줍니다. 옵션 화면입니다. 기본 설정으로 두고 다시 next를 눌러주도록 합니다. 그 뒤에 화면도 기본값으로 두고 git을 설치합니다. 이제 github회원가입 후 새 리포지터리를 생성합니다. www.github.com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

728x90